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가입조건 총정리

by 소상공인 화이팅 2025. 4. 4.
반응형

목차

    청년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한 정부 금융정책 핵심 상품,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 더욱 확대되었습니다.

    월 납입액에 따라 최대 5,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이 제도는,

    나이와 소득 조건 등 까다로운 기준이 있어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.

     


    ✅ 청년도약계좌란?

    5년간 납입 시 정부 매칭 지원금 + 은행 이자를 합쳐 큰 금액의 자산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청년 전용 적금 상품입니다.


    ✅ 1. 가입 대상 조건

    • 연령: 만 19세 ~ 34세 (병역이행 최대 6년 제외 가능)
    • 개인소득: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
    • 가구소득: 중위소득 250% 이하
    • 금융소득 종합과세자: 최근 과세기간에 해당된다면 가입 불가

    📊 중위소득 250% 기준표 (2023)

    가구원 수 기준 연 소득
    1인 62,336,760원
    2인 103,684,650원
    3인 133,044,480원
    4인 162,028,920원
    5인 189,920,640원
    6인 216,839,430원
    7인 243,225,450원

    ✅ 2. 가입 시 유의사항

    • 1인 1계좌만 가능 (중복 불가)
    •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신청 불가
    •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전년도 소득 기준 적용
    • 부정수급 시 환수 가능


    ✅ 3. 신청 절차 (소득 검증 포함)

    1. 취급은행 앱 또는 영업점에서 신청
    2. 계좌 개설 안내
    3.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 자격 심사
    4. 심사 완료 시 계좌 개설

    약 2주 소요, 이후 1년 주기로 자격 재심사


    ✅ 4. 가입 기간 · 납입 금액 · 이자율

    항목 내용
    가입 기간 5년 (60개월)
    납입 금액 월 1,000원 ~ 70만 원 (자유납입)
    이자율 은행 자율 결정 (3년 고정 + 2년 변동)
    평균 연 4.5%~6.0%

     


    ✅ 5. 신청 기간

    • 2025년 4월 접수 기간: 3월 18일(월) ~ 4월11일(금)
    • 매월 정기 접수 진행 예정

     


    ✅ 6. 정부 기여금 규모 및 수령액

    월 소득 기준 정부 지원금 5년 예상 수령액
    240만 원 이하 30만 원/월 약 5,000만 원 이상
    240~360만 원 20만 원/월 약 4,000만 원
    360~480만 원 10만 원/월 약 3,000만 원
    480만 원 초과 지원 없음 본인 납입 + 이자

    ✅ 7. 추가 혜택 (3년 이상 유지 시)

    • 정부 기여금 미지급 없이 중도 해지 시 최대 60% 지급 유지
    • 개인 신용평점 가산점 제공
    • 2년 이상 유지 시 납입금 40%까지 인출 가능

    📌 핵심 요약 정리

    • 신청 대상: 만 19~34세 청년
    • 조건 충족 시: 정부 지원금 + 이자 합산 최대 약 5천만 원 수령
    • 이자율: 은행별 최대 연 6% 수준
    • 신청처: 국민·신한·하나·우리·농협 등 주요 은행


    📎 공식 참고 링크

     

    반응형